인터넷 웹페이지를 상위노출하기 위해서는   검색엔진이 내용을 알아봐야 되기에....

검색엔진에게 문서정보를 보내주는 메타 태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메타태그가 뭔지 알아보죠!!

타 태그 [ META TAG ]

메타 태그란 키워드 검색엔진에 특정 홈페이지 또는 HTML문서에 대한 색인정보 즉, 키워드와 약간의 정리된 내용(컨텐츠)을 표현하는 HTML Tag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그렇군요... 메타태그는 사용자를위한 태그가 아닌 검색엔진에 이 문서는 뭐다.. 라고 정보를 보내주는 거군요!!

그럼 메타태그 에서 써야될 것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1. 가장 기본적으로 반드시 포함되는 메타태그는 인코딩 방식에 대한 내용을 보여주는 메타 태그입니다.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웹문서의 문자 인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메타태그입니다

문자 인코딩형식은 EUC-KR, UTF-8, EUC-EN 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중 요즘에는 UTF-8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 같습니다.

2. 웹문서나 사이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메타태그

<META NAME="Generator CONTENT="사이트 제작 툴 혹은 에디터"> <-- 이건 뭐 별로 중요하지 않을듯.. ^^

<META NAME="Author" CONTENT="제작자"> <-- 글쓴이가 누군지 알려줘서 손해 볼건 없겠죠..

<META NAME="Keywords" CONTENT="웹검색에 노출되는 키워드"> <-- 검색엔진에 알리고 싶은 키워드.. 알리고 싶은 내용을 앞쪽으로 오게 하는게 중요!!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웹문서/사이트에 대한 요약설명"> <-- 검색엔진에 알리고 싶은 사이트내용.. 중요!!

<META NAME="Copyright" CONTENT="저작권 관련정보">

<META NAME="Subject" CONTENT="웹문서/사이트 주제">

<META NAME="Title" CONTENT="웹문서/사이트 타이틀">

<META NAME="Publisher" CONTENT="발행인/업체">

<META NAME="Other Agent" CONTENT="웹문서/사이트 책임자">

<META NAME="Classification" CONTENT="카테고리 분류">

<META NAME="Reply-To(Eail)" CONTENT="메일주소">

<META NAME="FileNAME" CONTENT="파일명">

<META NAME="Author-Date(Date)" CONTENT="제작일">

<META NAME="Location" CONTENT="위치">

<META NAME="Distribution" CONTENT="배포자">

3. 웹페이지 검색로봇을 제어하는 메타태그 <- 이건 검색엔진(검색로봇)이 가지고 가라 말아라 내용을 적는 것입니다.

robot.txt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메타태그를 활용하여 로봇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meta name="Robots" content="봇 명령어">

EX)

<META NAME="ROBOTS" CONTENT="ALL">

- 로봇 검색을 허가한다

<META NAME="ROBOTS" CONTENT="NONE">

- 로봇 검색을 허가하지 않는다

<META NAME="ROBOTS" CONTENT="INDEX,FOLLOW">

- 해당파일을 읽고 링크 연결 문서도 읽는다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FOLLOW">

- 해당파일은 읽지 않고 링크 문서만 읽는다

<META NAME="ROBOTS" CONTENT="INDEX,NOFOLLOW">

- 해당파일은 읽고 링크 문서는 무시한다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NOFOLLOW">

- 해당파일도 읽지않고 링크 문서도 무시한다

검색엔진(로봇)이 너무 많이 왔다 갔다 하면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기때문에 제어를 해준다고 하더군요.. ㅋㅋ

위 메타태그를 모두 입력하실필요는 없습니다.

필요하신 태그만 골라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구슬도 꿰야 보배라고.. 아무리 웹페이지 내용일 좋다해도  봐 주는 사람이 없으면 완전 꽝이죠..

메타 태그입력을 해서 나의 웹페이지가  검색 결과에서 상위 노출이 될수 있도록 하는게 좋겠죠..

모두 즐거운 하루되시고.... 이상 잔머리였씁니다

Posted by 잔머리

워드프레스에서 사이드바는 항상 같은 형태로 따라다니죠... ^^;

테마에 따라 사이드바 위젯을 맘대로 조정이 가능하기도 한데... 

사이드바를 맘대로 바꿀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어 소개 합니다.

플러그인 이름은 Content Aware Sidebars 1.0입니다. 

플러그인 추가 하기에서 Content Aware Sidebars를 검색하면 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설치하시고 활성화 하시면 대시보드 좌측에 댓글 하단에 사이드바라고 메뉴가 하나 더 생깁니다.

거기서 사이드바를 내맘대로 사이드바를 추가 삭제 할 수 있답니다. (페이지든 포스트든..)




사이드 바에 가셔서 Add New를 누르시고 사이드바를 생성 적용시킬 포스트와 페이지를 설정하여 주시면 끝...

다음은 위젯 설정에 가서 보시면 내가 추가한 사이드바가 보이실 겁니다. 그럼 끝...

참 쉽습니다.

다른 페이지, 포스트와 다른 구성을 위해 쓰기에는 좋을 듯 싶습니다.

이상 잔머리였습니다. 




Posted by 잔머리

지난 번에 이어 오늘은 소주 한병의 알콜 함유량은 막걸리 몇통과 같은지 함 살펴 보겠씁니다. 

지난번에 확인해본 결과 소주는

소주(19도기준 참이슬후레시, 처음처럼순한)는 19도니까.. 360*0.19 = 68.4ml(빨간 라벨은 72ml)의 알콜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제 막걸리로 환산을 하면,, 막걸리(서울 장수 막걸리 기준) 6도네요



지난번 과 같이 역산을 해보면 68.4/0.06=1140cc (빨간 라벨 72/0.06=1200cc) 입니다.

막걸리 한병의 용량이 750ml니까... 거의 한통 반(750cc*1.5(병)=1125 cc)이네요.. 

어쩐지 막걸리 두통 먹으면 소주 한병보다 알딸딸 하던데. 다 이유가 있는 거군요..

이제는 조금씩 계량을 해서.. 술을 먹어야 겠네요. 무턱대고 마시지 말고.. 주량껏 . 끊든지.. ㅋㅋ 

이상 잔머리였습니다.   


Posted by 잔머리

갑자기 소주 한병이 맥주 몇 cc인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계산을 합니다.




소주(19도기준 참이슬후레시, 처음처럼순한)는 19도니까.. 360*0.19 = 68.4ml의 알콜이 들어 있네요..

그럼 맥주는 4.5도니까.. 소주1병의 알코올량을 맥주의 도수로 나누면 68.4/0.045= 1520 cc네요..

아~~ 

대충 맥주 피티병 하나(1600cc)가 소주 한병정도 계산하면 되겠네요...

담엔 소주랑 막걸리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이상 잔머리였습니다. 



Posted by 잔머리

 엘레강스테마중 feather 테마 분석하기(4)에서 첫페이지 이미지 4컷 구성하는 법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이미지가 네컷이 있습니다.  

이 이미지들은 각 페이지의 featured Image입니다.

페이지 구성하기에서 featured Image에 이미지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하단에 글이 많으면 글이 끝까지 나오는데 그건 More tag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첫화면에 있는 그림과 설명이 다 나오게 됩니다.

아 쉽다.... 

이상 잔머리였씁니다. 




Posted by 잔머리

<쉬프트 키 이용하기>

1) 파일 한 번에 영구적으로 삭제하기 -> [SHIFT키 + DEL키]

2) 파일 이동하기 -> [SHIFT키 + 마우스 드래그]

3) 파일을 연속으로 선택하기

4) 마우스 오른쪽 버튼 메뉴 띄우기 -> [SHIFT키 + F10키]

5) 웹페이지 앞 뒤로 움직이기 -> [SHIFT키 + 마우스 휠]  ie만 되는듯

Posted by 잔머리

엘레강스테마중 feather 테마 분석하기 3탄 - 첫 페이지구성을 다워보겠습니다.

그냥 그림만 보셔도 아실꺼 같아 그냥 그림에 설명을 달아 놯습니다. 제가 귀차니즘이 발동하여 여기까지....

잘 모르시겠으면 쪽지나 댓글 남겨주세요... ^^;

그냥 그림만 보셔도 아시겠죠.. ^^

이상 잔머리의 엘레강스테마 feather 분석에서 첫 페이지 분석이였습니다.  


Posted by 잔머리

오늘은 엘레강스테마중 feather 테마에서 슬라이드를 설정하여 보게습니다.

이패널에서 Genera Setting-> Feature Slide탬을 클릭합니다.

그림에 사용법은 설명해 놓았습니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슬라이드에 사용될 카테고리 설정과 페이지 사용설정을 같이 하면 페이지가 우선이여서 페이지로 슬라이드가 지정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건 엘레강스 테마는 다 그런거 같더라고요.. 

위와 그림을 보면 대강 슬라이드 설정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다음은 슬라이드에 사용될 페이지나 포스트 작성시 옵션을 주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페이지나 포스트를 작성하시면 하단과 같이 글상자 밑에 옵션이 뜹니다. 거기에서 슬라이드의 형태(참고로 4가지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옵션

1. 이미지,비디오+설명 2.설명+ 이미지또는 비디오 3. 텍스트 설명으로만, 4. 이미지만)를 설정하고 페이지나 포스트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제 슬라이드도 작성하는 법을 알아 봤습니다. 여기까지 어렵지 않네요.. ^^ 세번째는 homepage탭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상 잔머리였습니다.  


Posted by 잔머리

블로그 이미지
잔머리를 굴려... 큰머리로.. 작은게 모여 큰것을 이루듯.. 우리의 작은 지식이 모여 큰 지식이 되기르_)*(_
잔머리

태그목록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